본문 바로가기
Daily 짠테크

추운 겨울, 춥지 않으면서 난방비 절약하는 방법

by 샐마 2023. 1. 27.

썸네일, 춥지 않으면서 난방비를 절약하는 방법
난방비를 절약할 수 있는 방법과 원리를 알려드립니다.

 

 

가스비 요금 인상이 난방비 폭탄으로 이어지면서 많은 분들의 불만이 폭발하고 있습니다. 저도 지난날 난방비보다 거의 30% 넘게 나와서 당황스럽습니다. 그래서 집 실내온도는 적절하게 유지하면서 난방비를 아낄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준비했습니다. 

 

1. (외출시) 개별난방의 경우는 외출모드 'On', 지역난방은 설정온도 1~2도 낮춰서 유지

2. (난방밸브) 안 쓰는 방이더라도 밸브를 약간 열어두기

3. (예약주기) 집안이 따뜻한 상태에서 써야 효과 발생

4. (수도꼭지) 온수 쪽으로 돌려둬서 난방비가 많이 나간다는 것은 잘못된 상식

5. (배관청소) 개별난방은 전문가 상담 후, 지역난방은 2~3년에 한 번은 청소

6. 중앙난방/주택난방 도시가스 사용자는 '도시가스 절약 캐쉬백'으로 효과 Up

 

 

1. 개별난방은 외출모드 이용, 지역난방은 1~2도 온도 낮춰서 설정 후 외출

 

중앙난방을 사용하는 분들은 보일러를 완전히 끄게 되면 보일러가 작동하면서 사용되는 도시가스양이 줄어서 요금이 적게 나온다고 생각하실지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보일러를 완전히 끈 상태에서 다시 작동을 시작하면 그동안 급격하게 내려갔던 물의 온도를 다시 올려야 하기 때문에 많은 에너지가 필요합니다. 이때 에너지를 가스를 연소하면서 만들기 때문에 가스를 소모하는 양이 많아지게 되며, 가스비용 또한 증가하게 됩니다. 

 

지역난방의 경우에는 어떨까요? 지역난방은 외출하는 경우, 설정온도를 원하는 온도 대비 1~2도 정도 낮춰놓은 후 외출하는 걸 추천드립니다. 중앙난방 방식과 마찬가지로 난방을 다시 할 때 보일러의 가동시간이 늘어나면서 연료 소모량이 증가하고 난방비가 증가하는 요인이 됩니다. 

 

물의 온도를 올리는데 과연 많은 에너지가 들어갈까요? 물은 상대적으로 높은 비열을 가지고 있습니다. 비열은 1 그램의 양을 온도 1도 올리는데 필요한 에너지입니다. 물은 비열이 1cal/g-K이고, 알코올은 0.58 cal/g-K입니다. 상대적으로 물 1g을 1도 올리는데 필요한 에너지가 크다는 것입니다. 이번처럼 온도가 영하 10도 가까이 있는 상황에서는 함부로 보일러를 멈추거나 하면 안 되겠습니다. 

 

 

실내온도를 유지하는 방법
실내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는 것이 핵심

 

 

 

2. 사용하지 않는 방의 난방밸브, 잠궈둬야 할까?

 

난방밸브를 잠궈둔다고 해서 난방비 절감에 도움이 되는 것은 아닙니다. 다만 에너지 대비 온도를 올려야 하는 면적이 줄어들면서 따뜻해지는 시간이 단축될 수 있습니다. 그렇다고 쓰지 않는 방을 너무 춥게 두면, 주변의 열을 잡아먹을 수 있기 때문에 난방 효과를 반감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열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흐르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집 내부 온도가 따뜻해지면 자연스럽게 추운 방으로 열기가 들어가게 됩니다. 기껏 만들어 놓은 온기를 추운 방에 내어주면 안 되겠죠? 그래서 적당히 쓰지 않는 방이라고 해도 밸브를 살짝 열어줘서 어느 정도로 온도가 유지될 수 있게 만들어 주는 것이 난방비 절감에는 조금 더 효과가 있습니다. 

 

3. 추울 때 가습기를 같이 틀어주면 효과가 있을까?

 

효과가 있습니다. 습도도 물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물이 있으면 한여름에는 시원함을 느낄 수 있고, 한 겨울에는 온도가 유지되는 효과가 있습니다. 한여름에 습도가 높으면 더 덥게 느껴지시죠? 그렇게 느끼는 것과 같은 원리입니다. 물은 에너지를 받으면 분자가 진동을 하고 진동하는 에너지는 열에너지로 바뀌게 됩니다. 그래서 집안의 습도만 잘 유지해 주셔도 감기에 걸리지 않고, 따뜻한 실내를 만들 수 있습니다. 

 

오늘부터라도 집에서 잘 실천하셔서 따뜻한 실내에서 따뜻한 겨울을 나셨으면 좋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