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도 금융위원회 예산이 확정되면서 중요한 내용이 있었습니다. 바로 청년들을 위한 목돈 마련 지원 정책이었는데요. 실제로 어떤 혜택이 있는지 자세하게 발표되지는 않았지만, 중요한 골자들은 나온 것 같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청년도약계좌란?
만 19세~34세 청년들의 중장기적 자산형성을 지원하는 지원정책으로 '청년도약계좌'라는 상품을 만들어 도입하고 운영할 예정입니다. 보도자료를 통해 볼 때, 서민금융진흥원을 통해 신청하거나 지원할 예정으로 총 3,678억 원을 국가에서 출연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상품 출시는 2023년 6월에 추진 예정이라고 알려져 있으며, 개인소득과 가구소득 기준을 만족하는 청년을 대상으로 운영된다고 합니다.
● 개인소득 : 6,000만 원 이하
● 가구소득 : 중위 180% 이하 (2023년 2인가구 기준, 622만원 이하)
신청방법이나 자세한 내용은 향후 추가로 발표할 예정이라고 하니 발표되면 자세하게 포스팅하도록 하겠습니다.
실제 효과는?
먼저 매월 납입금액에서 6%를 지원해준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매월 납입금이 70만 원 정도인데, 여기에 6% 정도면 42,000 정도를 국가에서 보조해 준다는 의미인 것 같습니다.
그럼 1년동안 납입해야 금액은 어느 정도일까요?
70만 원 x 12개월 = 840만 원
1년간 납부하는 금액을 5년으로 환산하게 되면?
840만 원 x 5년 = 4,200만 원
5,000만 원을 목돈으로 마련해 주기 위해서는 800만 원을 이자로 더해서 줘야 합니다. 그럼 연평균 이자율은 어느 정도일까요? 대략 연평균 3.8%의 이자율이 적용되는 것 같습니다. 원금이 4,200만 원에 이자가 800만 원이 붙기 때문에 간단하게 계산하면 이 정도가 나옵니다.
현재 1 금융권 시중 은행 중 적금 이자를 고려해 볼 때 나쁘지 않은 선택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정확한 건 차후에 나오는 세부적인 내용을 보고 판단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Daily 짠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년 학자금 대출 지원대상, 지원방법 등 총정리 (0) | 2023.02.01 |
---|---|
추운 겨울, 춥지 않으면서 난방비 절약하는 방법 (0) | 2023.01.27 |
2023년 자동차세 연납 혜택, 신청기간과 할인율 (0) | 2023.01.17 |
[국민건강보험 환급금] 건강보험, 국민연금 보험료 중 과오납부한 내역이 있으면 환급 받을 수 있어요. (0) | 2023.01.08 |
2023년 연말정산 일정 및 주요내용(변경사항 포함) (0) | 2023.01.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