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로 좋았던 점은 중국에서 발생해서 우리나라로 불어오는 미세먼지나 초미세먼지가 줄어 서울에서도 깨끗하고 맑은 하늘을 볼 수 있다는 점이었습니다. 코로나로부터 2년이 지나고부터 점점 미세먼지가 다시 심해지기 시작하는 것 같아요. 그래서 봄철 미세먼지로부터 우리의 건강을 지켜줄 몇 가지 수칙에 대해서 준비했습니다.
|미세먼지 건강수칙|
1. 장시간 실외활동 자제
2. 외출 시 황사마스크 착용
3. 외출 후 손과 얼굴을 깨끗하게 씻기
4. 충분한 수분 섭취
5. 과일, 채소 등 충분히 씻어 먹기
6. 창문 닫기
1. 미세먼지 농도별 예보 기준
1) 좋음 : PM10 : 0-30 ㎍/㎥, PM2.5 : 0-15 ㎍/㎥
대기오염 관련 질환을 가지고 있는 대상자에게도 영향이 없을 정도의 수준
2) 보통 : PM10 : 31-80 ㎍/㎥, PM2.5 : 16-35 ㎍/㎥
만성 노출시 경미한 영향이 유발될 수 있을 정도의 수준
3) 나쁨 : PM10 : 81-150 ㎍/㎥, PM2.5 : 36-75 ㎍/㎥
환자군과 어린이 및 노약자 등에게 유해한 영향을 유발하고, 일반인에게도 건강상 불쾌감을 유발할 수 있을 정도의 수준
4) 매우나쁨 : PM10 : 151 이상 ㎍/㎥, PM2.5 : 76이상 ㎍/㎥
환자군과 어린이 및 노약자에게 급성 노출 시 심각한 영향을 유발하고, 일반인에게도 약한 정도의 영향을 유발할 수 있는 정도의 수준
2. 미세먼지란?
미립자 물질 또는 Particulate Matter(PM)이라고도 하는 미세 먼지는 공기 중에 부유하는 작은 고체 또는 액체 입자를 말합니다. 이러한 입자는 차량 배기가스, 산업 배출물, 건설 먼지, 산불 등 다양한 출처에서 나올 수 있습니다. 미세먼지는 크기에 따라 분류하는데, 10 마이크로미터보다 작은 입자(PM10, 미세먼지) 2.5 마이크로미터(PM2.5, 초미세먼지) 보다 작은 입자로 분류합니다. 이런 크기의 입자들은 폐 깊숙이 침투하여 잠재적으로 건강 문제를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특히 조심해야 합니다. PM2.5 입자는 혈류를 통과할 수 있을 만큼 작고 심혈관 문제를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PM2.5 농도가 높을수록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높은 수준의 미세먼지에 노출되면 천식부터 기관지염, 심장 마비, 뇌졸증과 같은 호흡기 및 심혈관 문제 등 여러 가지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어린이, 노인, 기저질환이 있는 사람들은 특히 미세먼지에 대한 영향에 취약할 수 있습니다. 미세먼지에 대한 노출을 줄이기 위해서는 오염도가 높은 날에 야외 활동을 자제하고, 실내 공기청정기 사용과 미세먼지 차단 마스크를 착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3. 우리나라 미세먼지가 심한 이유
1) 지리적 위치
우리나라는 아시아 대륙의 동쪽에 위치하고 있어 주변 국가인 중국과 몽골로부터 오염물질을 운반하는 편서풍으로 인해 많은 영향을 받습니다. 또한 한반도 자체가 산으로 둘러싸여 있는 형태이기 때문에 오염물질이 흩어지는 것을 막는 효과가 있습니다. 그리고 높은 인구밀도로 도시에 많은 사람이 살고 있으며 이는 오염을 발생시키는 차량과 산업시설이 많아지므로 먼지와 오염물질 등 대기오염에 있어 좋지 않은 효과를 줍니다.
한국 경제는 제조와 수출에 크게 의존하고 있어, 오염 물질 생산에 많은 기여를 하고 있는 중입니다. 특히, 전기전자, 철강 및 자동차의 주요 생산국이며 모두 생산하는데 상당한 양의 에너지와 자원이 필요합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배출량을 줄이고 지속 가능한 개발을 촉진하기 위해 국내 및 국제적 노력을 모두 포함하는 다각작인 접근 방식이 필요합니다.
2) 국내 발생 요인
○ 운송분야
운송 부문은 우리나라 전체 미세먼지 배출량의 약 30%를 차지하는 중요한 미세먼지 발생원입니다. 노후화된 차량과 배기 가스 제어와 결합된 많은 수의 자동차와 트럭이 도로 위에 있다는 것이 미세먼지 발생원인으로 지적되고 있습니다. 특히, 디젤 엔진의 경우 높은 수준의 PM을 배출하기 때문에 미세먼지 농도가 높아지는 것에 기여를 하고 있습니다.
○ 산업분야
우리나라는 수출국가 답게 많은 공장과 발전소에서 많은 양의 미세먼지를 대기 중으로 방출하고 있습니다. 특히 철강 제조 공정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가 주요 원인으로 손꼽히고 있습니다.
○ 건설분야
철거 및 굴착을 포함한 건설 활동은 상당한 양의 미세먼지를 발생시킵니다. 특히 중장비의 사용과 다량의 흙과 먼지의 이동이 미세먼지 농도 증가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건설 활동은 도시 지역에 집중되어 있으며, 높은 인구 밀도로 많은 문제를 악화시키고 있습니다.
ㅇ 농업 및 난방
축산 및 농작물 찌꺼기 연소를 포함한 농업 활동도 미세먼지 농도 증가에 원인이 되고 있고, 특히나 수확기가 지난 뒤 볏짚을 태우는 것 또한 미세먼지 농도를 증가시키는 주요 원인입니다.
'Day & Night'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년 영유아 로타바이러스 백신 무료 접종 안내 (0) | 2023.02.20 |
---|---|
2023학년도 새 학기 학교 방역 운영방안 교육부 발표 정리 (0) | 2023.02.20 |
대한민국 벚꽃길 길이 Top 5 (0) | 2023.02.16 |
청주 더빈(The BIIN) 웨딩 컨벤션 : 웨딩홀, 연회장, 주차장, 위치까지 정리 (0) | 2023.02.10 |
통풍(Gout)의 증상 및 관리방법 (0) | 2023.01.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