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동안 로타바이러스 백신 접종은 선택사항이었기 때문에 부모님들이 20~30만 원 수준의 비용을 내가면서 우리 아이들 접종을 해야 했습니다. 하지만 2023년 2월부터는 국가 필수예방접종에 포함되면서 어디서나 무료로 접종을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어떻게 접종 받을 수 있는지 이번 포스팅에서 살펴보겠습니다.
예방접종도우미
로타바이러스는 영유아에서 발생하는 위장관염의 흔한 원인으로 감염 시 구토, 설사, 발열, 복통 등의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로타바이러스는 어떻게 전파되나요? 로타바이러스는 분변-경구
nip.kdca.go.kr
|영유아 로타바이러스 백신 무료 접종 안내 개요|
사업시작일 : 2023년 3월 6일부터
지원대상 : 생후 2-6개월 영아
지원백신 : 로타릭스(2회), 로타텍(3회)
접종기관 : 지정의료기관 및 보건소
접종방법 : 경구투여
접종가능연령 :
① 생후 15주가 되기전까지 첫 번째 접종 완료
② 생후 8개월이 되기 전 모든 접종 완료
1. 백신 예방접종비용 지원 조건
로타바이러스 비용 지원은 국가예방접종 지원사업이 시작되는 날부터 비용지원이 가능하며, 사업시작 일 이전 접종에 대해서는 소급하여 적용되지 않습니다. 로타바이러스 백신의 최대접종연령은 생후 8개월 0일입니다. 비용지원은 최대 접종가능 연력을 초과하지 않아야 비용 지원이 가능합니다.
또한 접종을 시작할 수 있는 최대 연령이 생후 14주 6일이며, 15주 이후 로타바이러스 백신을 접종한다면 비용지원이 어렵습니다. 반드시 접종 연령을 확인하신 후 신청하셔야 합니다. 그리고 교차 접종을 하게 되는 경우에도 비용 지원이 어렵습니다. 다만 1차와 2차가 교차접종 되었다면(로타텍 백신이 한 번이라도 사용된 경우) 3차 접종 시 교차접종 예외인정 기준에 해당되어 타당한 의학적 소견을 입력하여 비용지원이 가능합니다. (의학적 소견으로는 이전 교차접종으로 인해 불가피하게 시행된 교차접종)
비용상환 기준
구분 | 로타바이러스백신 | |
1가 백신(로타릭스) | 5가 백신(로타텍) | |
접종횟수 | 2회 | 3회 |
1차 최소접종연령 | 생후 6주 | 생후 6주 |
1차 최대접종연령 | 생후 14주 6일 | 생후 14주 6일 |
최소접종간격 | 4주 | 4주 |
접종가능 최대연령 | 생후 8개월 0일 | 생후 8개월 0일 |
교차접종 | 불가 | 불가 |
신청방법
예방접종통합관리시스템에 접종기록 전산등록 시 자동청구되며, 피접종자의 주소지 관할 보건소에서 비용상환 심사 후 시행비를 지급하게 됩니다.
2. 로타바이러스 백신
로타릭스(Rotarix)
1가 백신, GlaxoSmithKline
로타릭스는 일반적으로 2회 경구를 통해 투여되는 백신입니다. 임상실험을 통해 중증 로타바이러스 위장염 예방에 875%, 로타바이러스로 인한 입원 예방에 100%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백신입니다. 또한 로타릭스는 여러 가지 로타바이러스 변종에 효과적이어서 광범위한 스펙트럼을 가진 백신입니다.
일반적으로 내약성이 좋으며 가장 일반적인 부작용이 경미하고 일시적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부작용에는 과민성, 식욕 부진 및 가벼운 설사가 포함됩니다. 위약에 비해 장중첩증(장폐색의 일종) 위험이 증가하지 않는 등 심각한 부작용이 드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미국을 포함한 많은 국가에서 일상적인 사용이 권장되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로타바이러스 질병 발생률의 감소에 기여한 백신입니다.
로타텍(Rotateq)
5가 백신, MERCK & Co.
로타텍은 머크사에서 개발한 백신으로 2006년에 미국에서 사용 허가를 받았습니다. 로타텍 또한 경구용 백신이며, 5가지 변종을 포함한 바이러스 백신입니다. 백신은 생후 2,4,6개월에 3회 접종 권장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DTaP, IPV 및 Hib와 같은 다른 정기적인 아동기 예방접종과 함께 제공됩니다. 백신은 아기의 입에 방울을 떨어뜨리는 방식으로 투여되며 다른 액체나 음식과 혼합되어서는 안됩니다.
대규모 임상시험에서 중증 로타바이스 위장염에 74~98%의 효과를, 입원을 요하는 중증 로타바이러스 질환에 85%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로타텍도 로타릭스와 마찬가지로 심각한 부작용은 드물며 백신으로 인한 장중첩증 유발 증거는 나타나지 않았다고 합니다.
하지만 로타바이러스 백신 접종은 8개월 0일 초과한 시점에서는 백신 접종으로 인한 장중첩증 발생 위험도가 증가한다는 연구결과를 토대로 접종가능 최대연령을 초과해서 접종시키지 않도록 하고 있습니다.
'Day & Nigh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시우미 잠실(초밥 오마카세) 내돈내먹 200% 찐후기 (3) | 2023.12.30 |
---|---|
2023 화이트데이 연인에게 선물하면 좋을 여자 향수 BEST5 (0) | 2023.03.03 |
2023학년도 새 학기 학교 방역 운영방안 교육부 발표 정리 (0) | 2023.02.20 |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기준 및 건강수칙 (0) | 2023.02.20 |
대한민국 벚꽃길 길이 Top 5 (0) | 2023.02.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