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보조금3

10만원 내고 13만원 혜택받는 '고향사랑기부제' 기부 및 활용방법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2023년 1월 1일부터 정부가 시행하는 '고향사랑기부제'에 대해서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고향사랑기부제'는 10만원을 기부하면 총 13만원의 혜택을 볼 수 있는 제도입니다. 어떻게 이런 방법이 가능한지 한 번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고향사랑기부제 주민등록상 주소지를 제외한 모든 지방자치단체에 기부 가능 개인당 연간 500만원 한도 기부금액 10만원 이하는 전액 세액공제, 10만원 초과시에는 16.5% 공제 가능 기부한 금액의 30%를 포인트로 적립, 포인트로 기부지역 답례품 제공받을 수 있음 고향사랑 기부제란? 개인이 주소지 이외에 지방자치단체에 기부하면 지방자치단체는 이를 모아 주민복리 증진 등에 사용하는 제도입니다. 국내에서는 처음 시행되는 제도이며, 제도의 도입 취.. 2023. 1. 5.
교통지원금 받는 방법(알뜰교통카드), 매월 최대 39,600원 지원 안녕하세요. 이번에 포스팅할 짠테크 정보는 바로 국가로부터 교통비를 지원 받을 수 있는 알뜰교통카드입니다. 신청방법과 사용방법에 대해서 자세히 알려드릴테니 마지막까지 잘 읽어주세요. 개요 알뜰교통카드는 대중교통을 이용하기 위해 걸어가거나 자전거를 이용할 경우 마일리지를 적립해 줌으로서, 대중교통비의 최디 30%를 절감시켜주는 교통카드입니다. 그럼 먼저 알뜰교통카드 신청 방법과 사용 방법에 대해 간단히 소개드리고 아래에서 더 자세히 말씀드리도록 할께요. 1) 먼저 알뜰교통카드를 신청하셔야 합니다. 아래에 카드신청 사이트 주소에 가셔서 먼저 카드를 신청해 줍니다. 알뜰교통카드 신청하러 가기 2) 스마트폰에 알뜰교통카드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해 줍니다. 버스나 지하철을 타러 가실 때 [출발하기] 와 도착 후에 [.. 2023. 1. 4.
2023년에 바뀌는 실업급여 기준. 소정 근로시간 계산 및 최저구직급여일액 기존 소정근로시간 산정 방법 구직급여 산정의 기초가 되는 임금일액에 대한 기준은 총 4가지 방식이 있습니다. ① 평균임금, ②통상임금, ③기준보수, ④최저기초일액 임금일액은 큰 금액을 기준으로 산정하게 되는데, 이 중 최저기초일액은 이직 전 1일 소정근로시간에 최저임금액을 곱한 금액으로 산정했었습니다. 단위 구분 산정 방식 일 단위 일 단위로 정해진 소정 근로시간을 그대로 적용 주 단위 소정근로시간과 유급근로시간(유급휴일)을 합해 7일로 나눈 시간 월 단위 소정근로시간과 유급근로시간(유급휴일)을 해당 월의 일수로 나눈 시간 주마다 달라지는 경우 이직 전 4주동안 소정근로시간과 유급근로시간(유급휴일)을 28일로 나눈 시간 기존 방식대로 계산할 때의 문제점 1주간 총 근로시간이 동일한 경우에도 소정근로시간을.. 2023. 1. 3.